우분투를 사용하는 중 부팅이 되지 않는 문제를 겪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듀얼 부팅 환경에서 Windows와의 호환성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에러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문제 상황
부팅 에러 발생
우분투 20.04를 기본 운영 체제로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Windows 10(업데이트 후 Windows 11)과 듀얼 부팅을 설정했습니다. 우분투에서 작업 후 Windows로 부팅하고 다시 우분투로 돌아가려 했으나, “root file system을 찾을 수 없다”는 에러 메시지가 나타났습니다.
초기 진단
우분투 설치 USB로 부팅하여 boot-repair
를 실행했으나, “Recommanded repair” 항목이 없어 “Create a Bootinfo summary” 항목만 보였습니다. AHCI 모드나 다른 설정 문제는 아니었으며, Windows에서 파티션을 암호화하지도 않았습니다. Clonezilla를 통한 복원 시도에서도 백업한 파티션을 확인할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파티션 인식 문제
우분투 설치 USB로 부팅 후 Disks
프로그램에서 SSD를 확인했으나, 여러 파티션이 아닌 하나로만 보였습니다. Windows에서 SSD를 확인할 때는 모든 파티션이 정상적으로 표시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SSD의 물리적 문제는 아니라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결국, fdisk -l
명령어를 통해 확인한 결과, “The primary GPT table is corrupt, but the backup appears OK, so that will be used.”라는 메시지를 확인했습니다. 이는 GPT 테이블의 문제로 파티션을 인식하지 못하는 상황이었습니다.
해결 방법
GPT 복구 진행
해결 방법으로는 gdisk를 사용하여 손상된 GPT를 복구하는 것입니다.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여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GPT 복구 방법 블로그
-
gdisk로 상태 확인
bash
$ sudo gdisk -l /dev/nvme0n1
이 명령어를 통해 GPT 손상 여부를 확인하고, “GPT: damaged”라는 메시지를 받을 수 있습니다. -
GPT 복구 명령 실행
bash
$ sudo gdisk /dev/nvme0n1
gdisk의 명령어 프롬프트에서 다음 단계로 진행합니다. r
: 복구 및 변환 옵션 선택b
: GPT 데이터를 파일로 백업c
: 파티션 이름 변경v
: 디스크 검증w
: 테이블을 디스크에 기록하고 종료
명령어 요약
gdisk에서 사용 가능한 주요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b
: 백업
– c
: 파티션 이름 변경
– d
: 파티션 삭제
– i
: 파티션 상세 정보 표시
– n
: 새 파티션 추가
– o
: 새로운 GUID 파티션 테이블 생성
– p
: 파티션 테이블 인쇄
– q
: 변경 사항 없이 종료
– r
: 복구 및 변환 옵션
– v
: 디스크 검증
– w
: 테이블을 디스크에 기록하고 종료
마지막으로 w
명령어로 변경 사항을 저장한 후, 다시 한번 gdisk를 통해 GPT의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질문1: 부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도구가 필요한가요?
답변: 부팅 문제 해결을 위해 우분투 설치 USB와 gdisk 도구가 필요합니다.
질문2: GPT 테이블이 손상되면 어떻게 되나요?
답변: GPT 테이블이 손상되면 파티션 정보를 인식하지 못해 부팅이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질문3: Clonezilla로 복원이 안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답변: Clonezilla는 파티션 정보를 올바르게 인식하지 못할 경우, 복원할 수 있는 데이터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질문4: 우분투 외에 다른 해결책이 있나요?
답변: 다른 리눅스 배포판을 사용하여 부팅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지만, gdisk를 통한 복구 방법이 가장 일반적입니다.
질문5: 부팅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답변: 정기적인 백업과 파티션 상태 점검이 중요하며, 시스템 업데이트 후에는 부팅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전 글: HUG 전세보증보험 가입 조건 및 비용 안내